📖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07건

토기

토기는 흙으로 빚어 불에 구워 만든 용기의 총칭이다. 신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사용해 온 가장 오래된 종류의 도기이며, 일반적으로 낮은 온도(700~800℃)에서 구워져 자기나 석기에 비해 강도가 약하고 흡수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개요

토기는 흙을 반죽하여 원하는 형태를 만들고, 햇볕에 말린 후 불에 구워 제작한다. 사용된 흙의 종류, 굽는 온도, 제작 방식에 따라 다양한 색깔과 질감을 가진 토기가 만들어진다. 초기에는 취사, 저장 등의 실용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장식적인 요소가 더해지면서 예술품으로도 발전하였다.

특징

  • 재료: 주로 진흙이나 점토를 사용한다.
  • 제작: 손으로 빚거나 틀을 사용하여 형태를 만들고, 건조 후 가마에서 굽는다.
  • 소성 온도: 비교적 낮은 온도(700~800℃)에서 소성한다.
  • 강도: 자기나 석기에 비해 강도가 약하다.
  • 흡수성: 흡수성이 높다.
  • 색상: 흙의 종류와 소성 방법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띤다.
  • 용도: 식량 저장, 조리, 의례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역사

토기는 신석기 시대부터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었다. 한반도에서는 빗살무늬토기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토기가 출토되었으며, 시대별로 형태와 문양이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토기는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과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종류

토기는 제작 방식, 형태,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 빗살무늬토기: 신석기 시대 대표적인 토기로, 표면에 빗살무늬가 새겨져 있다.
  • 민무늬토기: 청동기 시대 이후 나타나는 토기로, 표면에 무늬가 없다.
  • 덧무늬토기: 토기 표면에 흙띠를 덧붙여 장식한 토기이다.
  • 검은간토기: 표면을 검게 갈아 광택을 낸 토기이다.

활용

토기는 고고학 연구에서 중요한 유물로 취급된다. 토기의 형태, 제작 기술, 문양 등을 분석하여 당시 사회의 문화, 기술 수준, 생활 방식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토기는 미술사 연구에서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현대 도예 분야에도 영감을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