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의
기의(記意, 프랑스어: Signifié)는 언어학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의 언어 기호학 이론에서 사용되는 핵심 개념 중 하나이다. 기표(signifiant)와 함께 언어 기호(signe linguistique)를 구성하는 두 가지 요소 중 하나로서, 기호가 나타내는 '의미' 또는 '개념'을 가리킨다.
소쉬르는 언어 기호를 단순히 단어나 형태가 실재 대상을 직접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기표와 기의라는 두 가지 정신적 실체의 결합으로 이해했다. 기표는 음성 이미지(image acoustique) 또는 글자의 형태와 같이 감각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하며, 기의는 그 기표에 의해 우리의 머릿속에 떠올려지는 추상적인 개념이나 의미를 말한다.
예를 들어, 한국어 단어 '사과'에서 'ㅅ-ㅏ-ㄱ-ㅗ-ㅏ'라는 소리의 순서나 '사과'라는 글자의 형태는 기표에 해당한다. 이 기표를 통해 우리가 머릿속으로 떠올리는 둥글고 빨간 과일의 개념이나 이미지가 바로 기의이다.
소쉬르 이론의 중요한 특징은 기표와 기의의 관계가 필연적이거나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자의적(arbitraire)이고 사회적 약속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이다. 같은 개념(기의)이라도 언어마다 다른 기표('사과', 'apple', 'pomme')로 표현되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
기의 개념은 기표 개념과 함께 소쉬르 기호학의 근간을 이루며, 이후 구조주의 언어학뿐만 아니라 철학, 기호학, 문화 연구, 문학 이론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관련 개념:
- 기표(signifiant)
- 기호(signe)
- 언어학
- 기호학
- 페르디낭 드 소쉬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