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29건

축약

축약 (縮約, contraction)은 언어학에서 어떤 단어나 구의 일부를 생략하거나 줄여서 더 짧은 형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발음의 편의성, 속도, 또는 문체적인 효과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축약은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며, 형태론, 통사론, 음운론적 변화를 동반하기도 한다.

개요

축약은 언어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구어체와 문어체 모두에서 발견된다. 하지만 문어체에서는 공식적인 맥락에서 축약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축약은 특정 언어 또는 방언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일 수 있으며, 그 형태와 사용 규칙은 언어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축약의 유형

  • 음운 축약: 인접한 음운들이 결합하거나 생략되어 발음이 짧아지는 현상. 예를 들어, 영어의 "going to"가 "gonna"로 줄어드는 경우가 있다. 한국어의 "하지 않다"가 "않다"로 줄어드는 것 또한 음운 축약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 형태론적 축약: 단어의 형태소가 줄어들거나 결합하여 더 짧은 단어가 되는 현상. 예를 들어, "국제 연합"이 "UN"으로 줄어드는 경우가 있다.
  • 통사론적 축약: 문장 성분 일부가 생략되어 더 짧은 구문이 되는 현상. 예를 들어, "나는 밥을 먹었다"에서 주어인 "나는"이 생략되어 "밥을 먹었다"로 표현되는 경우가 있다.

축약의 예

  • 영어: "cannot" → "can't", "I am" → "I'm"
  • 한국어: "무엇을" → "뭘", "어떻게" → "어케"
  • 프랑스어: "le" + "arbre" → "l'arbre" (모음 충돌 회피)

참고 문헌

  • 언어학 개론
  • 국어 문법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