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장
청장은 특정 행정 기관의 장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주로 '청'이라는 명칭이 붙는 독립된 행정 기관의 최고 책임자를 의미하며, 기관의 운영을 총괄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청장은 기관의 대표로서 대외적인 활동을 수행하며, 기관의 주요 정책 결정에 참여합니다.
일반적인 특징:
- 임명: 청장은 대통령 또는 국무총리의 제청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청장의 경우 국회의 인사청문회를 거치기도 합니다.
- 계급: 일반적으로 고위공무원단 가급 또는 차관급에 해당합니다.
- 역할: 기관의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 수립, 예산 집행, 조직 관리, 대외 협력 등 다양한 책임을 수행합니다.
- 책임: 기관 운영 전반에 대한 책임을 지며, 관련 법규 및 지침을 준수해야 합니다.
예시:
- 경찰청장
- 국세청장
- 기상청장
- 병무청장
- 산림청장
- 조달청장
- 통계청장
- 특허청장
- 해양경찰청장
관련 법규:
각 청의 설치 근거 및 조직, 직무 범위는 개별 법률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찰청은 「경찰법」, 국세청은 「국세청법」에 따라 설치 및 운영됩니다.
참고:
청장은 행정부의 주요 직위 중 하나이며, 기관의 성격과 규모에 따라 그 역할과 영향력은 상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