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926건

외이도

외이도 (外耳道, external auditory canal 또는 ear canal)는 귓바퀴에서 고막에 이르는 통로를 말한다. 외부 소리를 모아 고막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약 2.5cm 길이의 굴곡진 관 형태를 띤다.

구조

외이도는 크게 연골부와 골부로 나뉜다.

  • 연골부: 외이도의 바깥쪽 1/3 가량을 차지하며, 섬유 탄성 연골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부위의 피부에는 피지선과 이구선(귀지샘)이 분포하여 이구(귀지)를 생성한다. 또한 털이 자라 외부 물질의 침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
  • 골부: 외이도의 안쪽 2/3 가량을 차지하며, 측두골의 일부인 고실부 뼈로 구성되어 있다. 연골부와 달리 피부가 얇고 뼈에 밀착되어 있어 손상에 취약하다.

기능

  • 소리 전달: 귓바퀴에 의해 모아진 소리를 고막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한다. 외이도의 형태와 길이는 특정 주파수의 소리를 증폭시켜 청력에 기여한다.
  • 보호: 굴곡진 형태와 이구, 털 등을 통해 외부 물질(먼지, 벌레 등)이 고막에 직접 닿는 것을 막아 고막을 보호한다. 또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여 고막의 손상을 예방한다.

질환

외이도에 발생할 수 있는 질환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외이도염: 세균이나 진균 감염, 알레르기 등으로 인해 외이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가려움, 통증, 진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외이도 진균증: 곰팡이 감염으로 인해 외이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가려움증이 심하며, 귀지가 많아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외이도 종양: 외이도에 발생하는 종양으로,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이 있다.
  • 이구전색: 귀지가 과도하게 쌓여 외이도를 막는 상태이다. 청력 저하, 이명, 귀 먹먹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관리

외이도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관리가 필요하다.

  • 귀지는 자연적으로 배출되므로, 면봉 등으로 억지로 파내지 않는 것이 좋다.
  • 수영이나 샤워 후에는 드라이기 등으로 외이도를 건조시키는 것이 외이도염 예방에 도움이 된다.
  • 귀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