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려일득
천려일득은 '천 번 생각하여 한 번 얻는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거듭하면 그중에서 하나는 얻어 걸릴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고사성어이다. 뛰어난 지혜가 없더라도 꾸준히 노력하면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비유적으로 표현한다.
유래:
이 성어는 《사기(史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에서 유래되었다. 한신(韓信)이 계포(季布)를 등용하라는 유방(劉邦)의 명을 거부하자, 유방이 “계포는 여러 번 나를 곤경에 빠뜨린 자인데 어찌 등용해야 하는가?”라고 물었다. 이에 한신은 “폐하께서는 인재를 제대로 알아보지 못하시니, 이것이 폐하의 패인입니다. '천려일실(千慮一失)이라도 지혜로운 사람에게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천려일득(千慮一得)'은 어리석은 사람에게도 나타날 수 있는 법입니다.”라고 답하였다.
의미:
- 겸손: 아무리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노력을 통해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자신의 능력을 과신하지 않고 겸손한 자세로 임해야 함을 일깨운다.
- 노력: 재능이 부족하더라도 꾸준히 노력하면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 다양성: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고 수용하는 자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활용:
- 성공의 가능성이 희박해 보이는 일이라도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는 사람을 격려할 때 사용된다.
-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겸손하게 배우려는 자세를 강조할 때 사용된다.
-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과정의 중요성을 설명할 때 사용된다.
반대말:
- 천려일실(千慮一失): 아무리 지혜로운 사람이라도 천 번 생각하면 한 번은 실수할 수 있다는 뜻으로, 완벽한 사람은 없다는 의미이다.
참고 문헌:
- 《사기(史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