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137건

종유

종유(鍾乳, stalactite)는 석회암 동굴 천장에서 물에 녹은 탄산칼슘이 침전되어 아래로 길게 뻗어 내린 광물 덩어리이다. 동굴 생성물의 일종으로, 동굴 천장의 틈새나 갈라진 곳을 따라 스며든 물이 증발하면서 탄산칼슘 성분이 결정화되어 형성된다. 종유석이라고도 불린다.

형성 과정

빗물이나 지하수가 땅속으로 스며들면서 이산화탄소와 결합하여 탄산을 형성한다. 이 탄산은 석회암(주성분: 탄산칼슘)을 녹여 탄산수소칼슘의 형태로 지하수에 녹아든다. 이 탄산수소칼슘을 함유한 지하수가 동굴 천장의 틈새를 통해 동굴 내부로 흘러나오면, 동굴 내부의 낮은 이산화탄소 농도와 온도로 인해 탄산수소칼슘은 다시 탄산칼슘으로 변환되어 침전된다. 이 과정이 오랜 시간 반복되면서 종유가 아래로 자라게 된다.

특징

  • 모양: 주로 원뿔 모양이나 고드름 모양을 띠며,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진다. 표면은 매끄럽거나 울퉁불퉁할 수 있다.
  • 색깔: 순수한 탄산칼슘은 흰색이지만, 다른 광물이나 불순물이 섞이면 다양한 색깔을 띨 수 있다. 철 성분이 함유되면 붉은색이나 갈색을, 구리 성분이 함유되면 푸른색이나 녹색을 띨 수 있다.
  • 성장 속도: 종유의 성장 속도는 매우 느리며, 연간 수 밀리미터 정도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장 속도는 물의 양, 탄산칼슘 농도, 온도, 습도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관련 용어

  • 석순(石筍, stalagmite): 동굴 바닥에서 위로 솟아오르는 광물 덩어리. 종유에서 떨어진 물방울의 탄산칼슘이 침전되어 형성된다.
  • 석주(石柱, column): 종유와 석순이 만나 기둥 모양을 이룬 것.

참고 문헌

  • 일반기상학 (시그마프레스)
  • 지구과학개론 (박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