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천구

천구는 천문학에서 사용되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지구를 중심으로 하여 무한히 넓은 우주를 구면으로 표현한 것이다.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천구의 중심은 관측자 자신이 된다. 실제로 우주는 3차원 공간이지만, 천구는 2차원 구면으로 표현함으로써 별들의 위치를 간편하게 나타내고, 천체의 운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천구는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그 모습이 다르게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개념들이 정의된다.

  • 천구의 북극과 남극: 지구의 자전축을 연장한 선이 천구와 만나는 점.
  • 천구의 적도: 지구의 적도면을 연장하여 천구와 만나는 원.
  • 자오선: 천구의 북극과 남극을 지나는 대원. 관측자의 자오선은 천정, 천저, 북점, 남점을 지난다.
  • 수평선: 관측자의 위치에서 수평면을 연장하여 천구와 만나는 원.
  • 천정: 관측자의 머리 위에 있는 천구의 점.
  • 천저: 관측자의 발 아래에 있는 천구의 점.
  • 황도: 태양이 일년 동안 천구상을 따라 이동하는 겉보기 경로.
  • 춘분점, 추분점: 황도와 천구적도가 만나는 두 점.
  • 황경, 황위: 황도좌표계에서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 적경, 적위: 적도좌표계에서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천구는 실제 존재하는 물리적인 구체가 아니며,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고 천체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편의적인 모델이다. 천문학에서는 천구를 이용하여 별자리, 행성의 위치 등을 표현하고, 천체의 운동을 분석한다. 하지만 현대 천문학에서는 우주의 실제 구조를 더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천구 모델을 넘어선 더 복잡한 모델들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