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광양회
도광양회(韜光養晦)는 자신의 재능이나 власти를 드러내지 않고 숨기며, будущую возможность 위해 실력을 키우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이는 주로 외교, 정치적인 맥락에서 사용되며, 특히 급격한 부상을 경계하고 내실을 다지는 전략을 의미한다.
개요
도광양회는 원래 중국의 고전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덩샤오핑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하면서 중국의 외교 전략의 기본 원칙으로 제시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덩샤오핑은 중국이 아직 강대국에 미치지 못하므로, 국제 사회에서 두각을 나타내기보다는 국력을 키우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빛을 감추고 어둠 속에서 힘을 기른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의미와 해석
도광양회는 단순히 소극적인 태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현재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필요한 준비를 하는 적극적인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주변 국가들과의 불필요한 갈등을 피하고, 경제 발전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한다.
비판적 시각
일각에서는 도광양회가 중국의 패권주의적 야망을 숨기기 위한 위장술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중국이 경제력을 바탕으로 군사력을 증강하고, 주변 국가에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을 두고, 도광양회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주장도 있다. 또한, 중국 내부에서도 도광양회가 너무 소극적인 외교 전략이라는 비판이 존재한다.
관련 용어
- 화평굴기(和平崛起): 평화로운 방법으로 부상한다는 의미로, 중국의 발전 전략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 유소작위(有所作爲): 필요한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행동한다는 의미로, 도광양회와 함께 중국 외교 전략의 유연성을 보여주는 용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