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제
진해제 (鎭咳劑, antitussive)는 기침을 멎게 하는 약물을 의미한다. 기침은 외부 자극이나 염증으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방어 작용이지만, 지속적인 기침은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하고 다른 질병을 악화시킬 수 있다. 진해제는 이러한 기침을 억제하여 환자의 불편함을 덜어주는 데 사용된다.
작용 기전
진해제는 작용 기전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 중추성 진해제: 뇌의 기침 중추에 직접 작용하여 기침 반사를 억제한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코데인, 덱스트로메토르판 등이 있다. 코데인은 마약성 진통제에 속하며 기침 억제 효과가 강력하지만, 의존성 및 부작용의 위험이 있어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덱스트로메토르판은 코데인에 비해 부작용이 적어 일반의약품으로도 판매되지만, 과량 복용 시 환각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 말초성 진해제: 호흡기 점막이나 신경 말단에 작용하여 기침 자극을 줄인다. 레보드로프로피진, 벤조나테이트 등이 이에 속하며, 비교적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종류
진해제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기침의 원인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선택해야 한다.
- 마약성 진해제: 코데인, 디히드로코데인 등
- 비마약성 진해제: 덱스트로메토르판, 레보드로프로피진, 벤조나테이트 등
- 거담제 병용: 기침과 함께 가래가 많이 나오는 경우, 진해제와 거담제를 함께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주의사항
진해제를 복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해야 한다.
- 의사 또는 약사의 지시에 따라 정확한 용법과 용량을 지켜야 한다.
- 졸음이나 어지럼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운전이나 기계 조작 시 주의해야 한다.
-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을 피하기 위해 복용 중인 약물이 있다면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에게 알려야 한다.
- 만성 기침이나 심각한 호흡기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 어린이에게는 의사의 처방 없이 진해제를 함부로 복용시키지 않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