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통합돌봄
지역사회통합돌봄 (Community Integrated Care)은 돌봄이 필요한 주민이 자신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주거, 보건의료, 요양, 돌봄 등의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사회 서비스 시스템이다. 기존의 시설 중심,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 방식에서 벗어나,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념 및 목표
지역사회통합돌봄은 단순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지역사회 내에서 돌봄이 필요한 주민들이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주거 지원, 건강 관리, 일상생활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연계하여 제공하며, 지역사회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주요 서비스
지역사회통합돌봄은 다음과 같은 주요 서비스를 포함한다.
- 주거 지원: 주거 환경 개선, 주택 개조, 공공임대주택 제공 등을 통해 안전하고 편안한 주거 환경을 제공한다.
- 보건의료 서비스: 방문 건강 관리, 만성질환 관리, 재활 서비스 등을 통해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지원한다.
- 요양 서비스: 재가 요양, 방문 요양, 단기 보호 등을 통해 일상생활 지원 및 간병 서비스를 제공한다.
- 돌봄 서비스: 식사 지원, 이동 지원, 가사 지원 등을 통해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일상생활 지원: 말벗 서비스, 문화 여가 프로그램, 사회 참여 활동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 형성을 지원한다.
추진 배경
고령화 사회 진입과 함께 만성질환 증가, 1인 가구 증가 등 사회적 변화가 심화되면서 돌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시설 중심 돌봄 체계는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어렵고, 개인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적인 돌봄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기대 효과
지역사회통합돌봄은 다음과 같은 기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 돌봄 필요 주민의 삶의 질 향상
- 불필요한 입원 및 시설 입소 감소
- 의료비 절감
- 지역사회 공동체 활성화
향후 과제
지역사회통합돌봄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 지역사회 중심의 서비스 제공 체계 구축
- 다양한 서비스 제공 주체 간의 연계 강화
- 돌봄 인력 양성 및 처우 개선
- 재정 확보 및 효율적인 운영 시스템 구축
- 지역사회 주민들의 인식 개선 및 참여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