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887건

크레아티니

크레아티닌은 근육 조직에서 크레아틴이 분해되면서 생성되는 대사 산물이다. 신장을 통해 혈액에서 걸러져 소변으로 배출되므로, 혈액 내 크레아티닌 수치는 신장 기능의 지표로 활용된다.

개요

크레아티닌은 크레아틴의 비가역적 탈수화 반응에 의해 생성되며, 에너지를 사용하는 근육 세포의 정상적인 활동 결과로 발생한다. 크레아티닌 자체는 생체 내에서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며, 신장을 통해 제거된다.

생성 및 배출

  • 생성: 근육 내 크레아틴은 크레아틴 키나아제(creatine kinase) 효소에 의해 인산화되어 포스포크레아틴(phosphocreatine) 형태로 저장된다. 근육 활동 시 포스포크레아틴은 에너지를 공급하고, 이 과정에서 일부 크레아틴은 크레아티닌으로 전환된다.
  • 배출: 크레아티닌은 사구체 여과를 통해 신장에서 여과되어 소변으로 배출된다. 신장 세뇨관에서의 재흡수는 거의 일어나지 않으므로, 크레아티닌 배설량은 사구체 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을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

임상적 의의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는 신장 기능 평가에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 정상 범위: 혈중 크레아티닌 정상 범위는 성별, 나이, 근육량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남성은 0.6~1.2 mg/dL, 여성은 0.5~1.1 mg/dL 정도이다.
  • 높은 크레아티닌 수치: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가 정상 범위보다 높으면 신장 기능 저하를 의심할 수 있다. 이는 급성 신부전, 만성 신부전, 요로 폐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낮은 크레아티닌 수치: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가 정상 범위보다 낮으면 근육량 감소, 임신, 간 질환 등이 원인일 수 있다. 하지만 낮은 크레아티닌 수치 자체만으로는 큰 임상적 의미를 갖지 않는 경우가 많다.

관련 검사

  • 혈액 검사: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를 측정하여 신장 기능을 평가한다.
  • 소변 검사: 24시간 동안 소변으로 배출되는 크레아티닌 양을 측정하여 신장 기능을 평가한다.
  • 사구체 여과율(GFR) 측정: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 나이, 성별 등을 이용하여 계산하거나, 직접 측정하여 신장 기능을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