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912건

조복

조복(朝服)은 조선시대 문무백관이 평상시에 국왕을 알현하거나 국가적인 의례에 참여할 때 입던 관복의 일종이다. 상복(常服)이라고도 불리며, 융복(戎服), 제복(祭服)과 함께 조선시대 관복 체계를 구성하는 주요 복식 중 하나였다.

개요

조복은 관료의 품계에 따라 색상과 문양, 장식 등에서 차이를 두어 신분을 구별하는 기능을 수행했다. 일반적으로 붉은색의 단령포(團領袍)를 기본 형태로 하며, 품계에 따라 흉배(胸背), 각대(角帶), 사모(紗帽) 등이 더해졌다. 조선 초에는 중국 명나라의 제도를 수용하여 사용했으나, 점차 조선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독자적인 형태로 변화했다.

구성

  • 단령(團領): 둥근 깃의 포로, 조복의 기본이 되는 겉옷이다. 품계에 따라 색깔이 달랐으며, 조선시대에는 주로 붉은색을 사용했다.
  • 흉배(胸背): 단령의 앞뒤에 부착하는 사각형의 수놓은 장식으로, 문관은 새, 무관은 짐승 문양을 사용했으며, 품계에 따라 문양의 종류가 달랐다.
  • 각대(角帶): 허리에 두르는 띠로, 뿔이나 상아 등으로 만들었으며, 품계에 따라 재료와 장식에서 차이가 있었다.
  • 사모(紗帽): 관료들이 조복을 입을 때 머리에 쓰는 모자로, 양 옆에 각(角)이 달려 있다.
  • 홀(笏): 의례에 참석할 때 손에 들던 나무판으로, 품계에 따라 재료와 크기가 달랐다.
  • 화(靴): 조복을 입을 때 신는 신발로, 가죽으로 만들었다.

변천

조복은 조선 건국 이후 명나라의 제도를 받아들여 처음 시행되었으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형태와 규정이 조금씩 변화했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 당상관과 당하관의 구분이 엄격해지면서 조복의 형태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참고 문헌

  • 『조선왕조실록』
  • 『국조오례의』
  • 『상방정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