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사
접사(接辭)는 어근에 붙어 새로운 단어를 만들거나 어근의 의미를 변화시키는 형태소이다. 어근 앞에 붙는 것을 접두사(prefix), 어근 뒤에 붙는 것을 접미사(suffix)라고 한다. 접두사와 접미사는 단어의 품사를 바꾸거나, 의미를 추가하거나, 강조하거나, 시제, 수, 성, 등을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때로는 접두사와 접미사가 결합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종류 및 기능:
-
접두사: 주로 단어의 의미를 변경하거나, 부정, 강조, 방향 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불가능'에서 '불-'은 부정의 의미를 지닌 접두사이다. 영어의 'un-'(unhappy), 're-'(rewrite), 'pre-'(prepaid) 등이 접두사의 예이다.
-
접미사: 주로 단어의 품사를 변경하거나, 의미를 추가하거나, 명사의 수나 성을 나타내는 등의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아름답다'에서 '-다'는 서술격 조사이며, '학생'에서 '-생'은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이다. 영어의 '-able'(readable), '-ing'(running), '-ly'(quickly) 등이 접미사의 예이다.
-
중간접사(infix): 어근의 중간에 삽입되는 접사이다. 한국어에서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일부 다른 언어에서는 흔하게 나타나는 형태이다.
-
둘 이상의 접사 결합: 하나의 단어에 여러 개의 접사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행하게'는 '불-'(부정), '-행' (어근), '-하-'(용언), '-게'(부사형 전성어미)가 결합된 형태이다.
접사와 어미의 구분:
접사와 어미는 모두 어근에 붙어 의미를 변화시키지만, 그 기능과 성격에서 차이가 있다. 접사는 새로운 단어를 만들거나 기존 단어의 의미를 변화시키는 반면, 어미는 문법적 기능을 수행하여 활용형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읽-는-다' 에서 '-는-'은 어미이고 '-다'는 어미이다. '읽-'는 어근이다.
다른 언어와의 비교:
다양한 언어에서 접사의 사용법과 종류는 상이하다. 영어는 접사를 활용하여 다양한 단어를 만들어내는 데 능숙한 반면, 한국어는 조사와 어미의 활용이 더욱 두드러진다.
참고 문헌: (참고 문헌 추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