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9,742건

근정

근정 (勤政)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경복궁의 정전(正殿)이다. 조선 시대에 국가의 중요한 의식을 거행하고 문무백관의 조회(朝會)를 받거나 외국 사신을 맞이하는 등 왕의 공식적인 활동이 이루어졌던 중심 건물이다. '근정'이라는 이름은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부지런함(勤)에 있다"는 뜻을 담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의 국보 제223호로 지정되어 있다.

역사 근정전은 조선왕조가 한양으로 천도한 후 태조 이성계 때인 1395년에 처음 창건되었다. 그러나 임진왜란(1592년) 때 경복궁의 다른 건물들과 함께 소실되었다. 약 270여 년간 폐허로 남아 있다가, 고종 때 흥선대원군의 주도로 경복궁 중건 사업이 진행되면서 1867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재건되었다.

건축 근정전은 넓은 월대(月臺, 기단) 위에 웅장하게 세워진 중층 건물이다. 월대는 상월대와 하월대의 2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모서리와 계단에는 석조 조각상들이 놓여 있다. 특히 월대 사방 난간 귀퉁이와 계단 소맷돌 등에는 봉황, 용, 사자, 해태, 천록 등의 서수상(祥瑞獸像)과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이 조각되어 있다. 건물 내부는 통층으로 트여 있으며, 중앙에는 왕의 어좌(御座)가 있고 그 뒤로는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 병풍이 놓여 있다. 화려한 단청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지붕은 팔작지붕 형태이다. 근정전 앞마당인 조정(朝廷)에는 품계석(品階石)이 좌우로 배열되어 있다.

기능 근정전은 주로 왕의 즉위식, 신년 하례식, 외국 사신 접견 등 국가의 주요 공식 행사가 열리는 장소였다. 또한 문무백관이 왕에게 인사를 드리는 조회나 과거 시험의 최종 발표 등도 이곳에서 이루어졌다. 왕의 권위와 위엄을 상징하는 공간이었다.

현재 근정전은 현재 경복궁 복원 및 정비 사업을 통해 잘 보존되어 있으며, 국보 제223호로서 관리되고 있다. 경복궁을 방문하는 많은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조선 왕실의 위엄과 건축미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적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같이 보기

  • 경복궁
  • 근정문
  • 조선왕조
  • 흥선대원군
  • 국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