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3,490건

만혼

만혼은 사회적 통념상 결혼 적령기를 지난 나이에 결혼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나이 기준은 사회 및 문화적 맥락에 따라 변화하지만, 일반적으로 여성의 경우 30대 초반 이후, 남성의 경우 30대 중반 이후에 첫 결혼을 하는 경우를 만혼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개념 및 특징

만혼은 개인의 가치관 변화, 경제적 불안정, 교육 기간의 연장,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사회적 현상이다. 과거에는 결혼이 필수적인 생애 과정으로 여겨졌으나, 현대 사회에서는 개인의 선택에 따라 결혼 여부를 결정하는 경향이 강화되면서 만혼 현상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만혼은 출산율 저하와 같은 사회적 문제와도 연관되어 있으며, 고령 출산으로 인한 건강 문제, 양육 기간 단축 등 개인적인 측면에서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영향 요인

  • 개인의 가치관 변화: 결혼에 대한 필요성이 감소하고 개인의 자유와 행복을 중시하는 가치관이 확산되면서 결혼을 늦추거나 포기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 경제적 불안정: 고용 불안, 주택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경제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결혼을 미루는 경우가 많다.
  • 교육 기간 연장: 고등 교육 이수율이 높아지면서 사회 진출 시기가 늦어지고, 그에 따라 결혼 연령도 상승한다.
  •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여성의 경제적 독립성이 강화되면서 결혼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지고, 커리어 개발을 위해 결혼을 늦추는 경향이 나타난다.
  • 결혼에 대한 부담감: 결혼 준비 과정의 어려움, 높은 결혼 비용, 가사 및 육아에 대한 부담감 등이 결혼을 망설이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사회적 영향

만혼은 출산율 저하, 고령화 사회 심화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와 연관되어 있다. 만혼으로 인해 첫 출산 연령이 높아지면서 출산율이 감소하고, 이는 인구 구조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만혼은 가족 구성원의 고령화, 노인 부양 문제 등과도 연결될 수 있다. 정부는 만혼 및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관련 용어

  • 비혼: 결혼하지 않은 상태
  • 저출산: 출산율이 낮은 현상
  • 고령화 사회: 노인 인구 비율이 높은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