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0,085건

잎눈

잎눈은 식물의 줄기 마디에 생기는 눈(芽)의 일종으로, 잎으로 자라날 싹을 품고 있는 구조이다. 잎눈은 줄기에서 잎이 발생하는 위치인 잎겨드랑이(엽액)에 주로 형성되지만, 뿌리나 잎에서도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잎눈은 생장점과 어린 잎, 그리고 이를 보호하는 잎눈 비늘(아린)로 구성되어 있다.

구조

  • 생장점: 잎눈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며, 세포 분열을 통해 새로운 잎과 줄기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 어린 잎: 생장점에서 만들어진 어린 잎들은 잎눈 내에서 접혀진 형태로 존재하며, 잎눈이 발달하면서 펼쳐져 성숙한 잎이 된다.
  • 잎눈 비늘 (아린): 잎눈의 가장 바깥층을 형성하며, 어린 잎과 생장점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잎눈 비늘은 왁스나 털로 덮여 있어 수분 손실을 막고, 추위나 해충으로부터 잎눈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준다.

종류

잎눈은 위치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정아(頂芽): 줄기나 가지의 끝에 위치하는 눈으로, 줄기의 길이 생장을 주도한다.
  • 액아(腋芽): 잎겨드랑이에 위치하는 눈으로, 가지나 꽃으로 발달할 수 있다. 액아는 정아의 생장 억제 효과 (정단 우세) 에 의해 일반적으로는 휴면 상태로 존재하지만, 정아가 제거되면 발달하여 새로운 가지를 형성한다.
  • 부정아(不定芽): 정상적인 위치가 아닌 곳, 예를 들어 뿌리나 잎에서 발생하는 눈이다. 꺾꽂이 번식에 활용될 수 있다.
  • 휴면아(休眠芽): 겨울철 추위와 건조로부터 생장점을 보호하기 위해 발달이 멈춘 상태의 눈이다. 봄이 되면 다시 생장을 시작한다.

기능

잎눈은 식물의 생장과 번식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잎눈은 광합성에 필요한 잎을 생성하고, 새로운 가지를 만들어 식물의 구조를 확장하며, 때로는 꽃을 피워 열매를 맺게 한다. 잎눈의 발달은 온도, 빛, 수분과 같은 환경 요인에 의해 조절되며, 식물의 생존과 번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