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석
입석은 좌석이 지정되지 않은 채로 열차나 버스 등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승객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좌석이 매진되었을 때, 또는 짧은 거리를 이동할 때 좌석을 구매하지 않고 입석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개요
입석은 좌석이 없는 상태로 서서 가거나, 복도나 출입문 근처의 공간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방식이다. 운행 회사 입장에서는 좌석이 매진된 이후에도 추가적인 승객을 수용하여 수익을 증대할 수 있는 방법이며, 승객 입장에서는 좌석을 확보하지 못했더라도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선택지가 된다.
특징
- 좌석 미지정: 입석은 좌석이 지정되지 않으므로, 다른 승객에게 양보하거나, 빈 좌석이 생길 경우 잠시 앉을 수 있다.
- 요금 할인 여부: 입석 요금은 좌석 요금보다 저렴한 경우가 많지만, 운행 회사나 노선에 따라 동일한 요금을 받기도 한다. 일부 KTX의 경우 자유석 제도를 운영하여 입석과 유사한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 안전 문제: 입석은 급정거 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손잡이를 잡거나 벽에 기대는 등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 보호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 혼잡도: 출퇴근 시간이나 명절 등 특정 시간대에는 입석 승객이 많아 혼잡할 수 있다.
관련 용어
- 자유석: 좌석이 지정되어 있지 않지만, 특정 칸 내에서 자유롭게 앉을 수 있는 좌석.
- 좌석 예약: 미리 좌석을 지정하여 구매하는 행위.
- 매진: 좌석이 모두 판매된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