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화산
사화산은 화산 활동의 역사를 기준으로 분류할 때, 역사 시대 이후 분화 기록이 없는 화산을 지칭한다. 즉, 현재는 휴지 상태이거나 활동을 완전히 멈춘 것으로 보이는 화산을 말한다.
개요
사화산은 활화산이나 휴화산과는 대조적으로, 분화 기록이 없거나 매우 오래되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화산 활동의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지질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화산 활동은 매우 긴 시간에 걸쳐 일어나는 현상이므로, 사화산 역시 미래에 다시 분화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따라서 사화산 주변 지역에서는 화산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연구가 필요하다.
특징
- 분화 기록 부재: 역사 시대 이후 분화 기록이 없는 것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 지형적 특징: 오랜 시간 동안 풍화와 침식 작용을 받아 화산 지형이 뚜렷하지 않을 수 있다.
- 지열 활동 미약: 활화산이나 휴화산에 비해 지열 활동이 미약하거나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예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화산이 존재하며, 한반도의 백두산 역시 넓은 의미에서 사화산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과거 분화 기록이 있지만, 현재는 활동이 멈춘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다만, 백두산은 잠재적인 활화산으로 분류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는 의견도 있다.)
주의
사화산이라는 분류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지질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 언제든지 활화산 또는 휴화산으로 재분류될 수 있다. 또한, 겉으로 보기에 활동이 멈춘 것처럼 보이더라도 지하에서는 마그마 활동이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화산 주변 지역에서는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