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865건

위염

위염은 위장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위염은 급성 위염과 만성 위염으로 나눌 수 있으며, 발생 원인, 증상 및 치료 방법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분류

  • 급성 위염: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위 점막의 염증을 말합니다. 원인으로는 약물(특히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알코올, 스트레스, 세균 감염, 독성 물질 섭취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급격한 복통, 메스꺼움, 구토, 식욕 부진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만성 위염: 오랜 기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는 위 점막의 염증을 말합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자가면역 질환, 담즙 역류, 장기간의 약물 복용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만성 위염은 종종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소화 불량, 속쓰림, 복부 팽만감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만성 위염은 위축성 위염이나 화생성 위염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드물게 위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원인

위염의 원인은 다양하며, 개인의 생활 습관, 건강 상태, 유전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만성 위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위 점막에 염증을 유발하고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암 등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 약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 아스피린 등은 위 점막을 손상시켜 위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알코올: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위 점막을 자극하고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스트레스: 정신적 스트레스는 위산 분비를 증가시키고 위 점막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 자가면역 질환: 자신의 면역 체계가 위 점막을 공격하여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담즙 역류: 담즙이 위로 역류하여 위 점막을 자극하고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진단

위염의 진단은 병력 청취, 신체 검사, 위내시경 검사, 조직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위내시경 검사는 위 점막의 상태를 직접 확인하고 조직 검사를 통해 염증의 정도와 종류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여부는 요소분해효소 검사, 조직 검사, 혈액 검사, 대변 항원 검사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치료

위염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급성 위염의 경우, 원인 물질을 제거하고 위 점막을 보호하는 약물(제산제, 위산 분비 억제제 등)을 사용합니다. 만성 위염의 경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이 확인되면 제균 치료를 시행합니다. 약물 복용으로 인한 위염의 경우, 약물 중단 또는 대체 약물 사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식이 요법 및 생활 습관 개선도 위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자극적인 음식, 알코올, 흡연 등을 피하고 규칙적인 식사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