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리천 전투
일리천 전투는 고려 시대인 1232년(고종 19년) 몽골 제국의 제2차 침입 당시 박서(朴犀)가 이끄는 고려군이 지금의 경상북도 김천시 아천동 일대(일리천)에서 몽골군을 맞아 싸운 전투이다.
배경
1231년 몽골의 제1차 침입 이후, 고려는 몽골과 강화 조약을 맺었으나, 몽골의 무리한 요구와 고려 조정의 혼란으로 인해 관계가 악화되었다. 1232년, 몽골은 살리타이(撒禮塔)를 총사령관으로 삼아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고려를 다시 침략했다. 고려 조정은 강화도로 천도하며 몽골에 항전할 것을 결의했다.
경과
살리타이가 이끄는 몽골군은 빠른 속도로 남하하며 주요 지역을 점령해 나갔다. 박서가 이끄는 고려군은 일리천에 진을 치고 몽골군을 막았다. 치열한 전투 끝에 고려군은 몽골군에 패배했고, 박서는 패잔병을 수습하여 금오산성(金烏山城)으로 후퇴했다.
결과 및 영향
일리천 전투는 고려군이 몽골군에 패배한 전투였지만, 몽골군의 남진을 지연시키고 금오산성 전투로 이어지게 하는 데 기여했다. 금오산성 전투에서 박서는 몽골군에 완강하게 저항하며 몽골군의 남진을 더욱 늦추는 데 성공했다. 이러한 저항은 이후 고려가 몽골과 강화 협상을 하는 데 유리한 조건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도 있다.
참고 문헌
- 고려사
- 고려사절요
- 동국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