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0,455건

유럽중심주의

유럽중심주의(Eurocentrism)는 유럽의 문화, 역사, 가치관을 다른 문화나 역사보다 우월하다고 여기고, 세계를 유럽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사고방식 또는 경향을 의미한다. 이는 유럽 문화가 세계의 기준이며, 다른 문화는 유럽 문화에 비해 열등하거나 미개하다고 보는 태도를 포함한다.

유럽중심주의는 역사적으로 유럽의 제국주의, 식민주의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며, 유럽 국가들이 세계를 지배하는 과정에서 정당성을 확보하고 지배를 용이하게 하는 이데올로기로 작용했다. 이러한 관점은 학문, 예술, 정치,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쳐왔으며, 비유럽 사회의 역사와 문화를 왜곡하거나 폄하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

주요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들 수 있다.

  • 유럽 문화의 보편성 강조: 유럽의 문화적 가치, 사상, 기술 등을 보편적인 기준으로 간주하고, 다른 문화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사용한다.
  • 역사 해석의 편향성: 세계사를 유럽 중심적으로 해석하고, 비유럽 지역의 역사를 주변부 또는 부차적인 것으로 취급한다.
  • 발전 단계론: 유럽의 발전 단계를 기준으로 다른 사회의 발전 정도를 평가하고, 유럽이 가장 발전된 형태라고 간주한다.
  • 타자화: 비유럽 사회와 문화를 '타자'로 규정하고, 유럽과는 다른 존재로 간주하며 차별적인 시선을 갖는다.

유럽중심주의는 비판적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다원주의적인 관점에서 세계를 이해하고 다양한 문화의 가치를 존중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유럽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은 탈식민주의, 다문화주의 등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전개되어 왔으며, 세계화 시대에 더욱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