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자
기생자 (寄生者, parasite)는 생물학에서 다른 생물 (숙주, 宿主)에 붙어살면서 숙주로부터 영양분을 얻어 생활하는 생물을 지칭한다. 기생자는 숙주에게 이익을 주지 않으며, 종종 해를 끼치는 관계를 가진다. 기생은 생물 간 상호작용의 한 형태로, 공생, 편리공생과 함께 분류된다.
특징
기생자는 생활 방식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 영양 획득: 숙주의 체액, 조직, 소화물 등을 직접 섭취하여 영양분을 얻는다.
- 숙주 의존성: 생존을 위해 숙주에 전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 생활사 복잡성: 숙주를 이용한 번식과 생존을 위해 복잡한 생활사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 숙주 특이성: 특정 숙주에만 기생하는 종도 있고, 여러 숙주에 기생하는 종도 있다.
- 숙주에 대한 영향: 숙주의 성장 저해, 질병 유발, 생식 능력 저하, 심지어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
분류
기생자는 기생 위치, 기생 기간, 숙주와의 관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 기생 위치에 따른 분류:
- 외부 기생: 숙주의 표면 (피부, 깃털, 비늘 등)에 기생하는 경우 (예: 이, 벼룩, 진드기).
- 내부 기생: 숙주의 체내 (장, 혈액, 근육 등)에 기생하는 경우 (예: 회충, 촌충, 말라리아 원충).
- 기생 기간에 따른 분류:
- 영구 기생: 숙주의 몸에 평생 기생하는 경우.
- 일시 기생: 생활의 일부 기간 동안만 숙주에 기생하는 경우 (예: 모기).
- 주기 기생: 규칙적인 간격으로 숙주에 기생하는 경우.
- 숙주와의 관계에 따른 분류:
- 절대 기생: 숙주 없이는 생존이 불가능한 경우.
- 조건 기생: 평소에는 자유 생활을 하지만, 특정 조건 하에서 기생 생활을 하는 경우.
예시
기생자는 매우 다양한 생물군에 걸쳐 존재한다.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원생동물, 선형동물, 절지동물 등 많은 생물종이 기생 생활을 영위한다.
- 동물: 회충, 촌충, 십이지장충, 이, 벼룩, 진드기, 모기, 흡혈박쥐 등
- 식물: 겨우살이, 새삼, 야고, 반기생 식물 등
- 미생물: 말라리아 원충, 트리파노소마, 세균, 바이러스 등
인간과의 관계
기생자는 인간의 건강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인간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기생충 감염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공중 보건 문제이며, 가축이나 농작물에 기생하는 종은 농업 생산성을 저해하기도 한다. 따라서 기생충 질환의 예방과 치료, 기생성 해충의 방제는 중요한 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