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8,015건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울역에서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국제공항역 (제1여객터미널), 인천공항2터미널역 (제2여객터미널)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공식적인 노선명은 별도로 없으며, 일반적으로 운영사의 명칭인 주식회사 공항철도의 줄임말인 공항철도로 불린다. 대한민국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과 민간 자본이 공동 출자하여 설립된 공항철도 주식회사가 건설 및 운영을 맡고 있다.

개요 인천국제공항과 서울 도심을 빠르게 연결하여 항공 교통 이용객의 편의를 증진하고, 수도권 서북부 지역의 교통망을 확충하는 것을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2007년 3월 23일 인천국제공항역 ~ 김포공항역 구간이 1단계로 개통되었고, 2010년 12월 29일 김포공항역 ~ 서울역 구간이 2단계로 개통되어 전 구간이 연결되었다. 2018년 1월 13일 인천공항2터미널역이 개통하며 현재의 노선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노선 및 운행 총 연장 약 63.3km이며, 총 14개의 역이 운영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과 서울역 간에는 중간역에 정차하지 않는 직통열차와 모든 역에 정차하는 일반열차 두 가지 종류의 열차가 운행된다.

  • 직통열차: 서울역과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역, 제2여객터미널역을 논스톱으로 연결한다. 소요 시간은 서울역에서 제1여객터미널역까지 약 43분, 제2여객터미널역까지 약 51분이다. 편안하고 빠른 이동을 위해 지정좌석제로 운영되며,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에서 출국 수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일반열차: 모든 역에 정차하며, 수도권 전철 시스템과 동일하게 운영된다. 서울 지하철 1, 2, 4호선(서울역), 5, 9호선(김포공항역), 인천 도시철도 1, 2호선, 기타 수도권 전철 노선들과 주요 역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공항 이용객뿐만 아니라 김포공항, 계양, 검암, 청라 등 수도권 서북부 지역 주민들의 통근/통학 수단으로도 이용된다.

역사

  • 2001년: 인천국제공항철도 건설 사업 착수.
  • 2007년 3월 23일: 1단계 구간 (인천국제공항역 ~ 김포공항역) 개통.
  • 2010년 12월 29일: 2단계 구간 (김포공항역 ~ 서울역) 개통.
  • 2018년 1월 13일: 인천공항2터미널역 개통 및 노선 연장.

특징 및 의의 인천국제공항철도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관문인 인천국제공항과 수도 서울의 중심부를 잇는 핵심적인 교통 인프라이다. 특히 서울역에서 운영되는 직통열차 이용객을 위한 도심공항터미널은 편리한 출국 절차를 제공하여 공항 이용 경험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일반열차는 서울 서부 및 인천 지역의 대규모 택지 개발 지구와 도심을 연결하는 광역 철도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