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중왕국
이집트 중왕국 (기원전 2055년경 - 기원전 1650년경)은 이집트 역사에서 제1중간기 이후와 제2중간기 사이의 시기를 지칭한다. 이 시기는 보통 제11왕조 후반부터 제12왕조 전체를 포함하며, 일부 학자들은 제13왕조 초반까지 포함하기도 한다. 중왕국 시대는 이집트가 다시 한번 통일되고 안정된 시기로, 예술, 건축,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번성기를 맞이했다.
주요 특징:
-
정치적 통일과 안정: 멘투호테프 2세가 상이집트를 통일하고 테베를 수도로 정하면서 제1중간기의 혼란을 종식시켰다. 이후 아멘엠하트 1세가 제12왕조를 열고 이집트의 중심지를 테베에서 이티타위로 옮기면서 중앙집권적인 통치 체제를 강화했다.
-
국력 강화와 영토 확장: 중왕국 시대의 파라오들은 누비아 지역으로의 군사 원정을 통해 영향력을 확대하고 금과 같은 자원을 확보했다. 또한, 시리아-팔레스타인 지역과의 교역을 통해 경제적 번영을 이루었다.
-
예술과 건축의 발전: 중왕국 시대에는 고왕국 시대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스타일의 예술과 건축이 발전했다. 특히, 아멘엠하트 3세의 하와라 피라미드와 같은 대규모 건축물은 이 시대의 건축 기술 수준을 보여준다. 문학 분야에서는 '시누헤 이야기'와 같은 고전 작품들이 등장했다.
-
사회 변화: 중왕국 시대에는 사회 계층 구조가 더욱 복잡해지고, 관료제의 역할이 강화되었다. 또한, 개인의 사후 세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라 제작 기술이 발전하고, '사자의 서'와 같은 장례 문헌이 널리 사용되었다.
주요 파라오:
- 멘투호테프 2세 (제11왕조): 이집트 통일
- 아멘엠하트 1세 (제12왕조): 이집트 수도 이전, 중앙집권 강화
- 세누스레트 3세 (제12왕조): 군사적 업적, 누비아 원정
- 아멘엠하트 3세 (제12왕조): 하와라 피라미드 건설, 경제적 번영
중왕국 시대는 이집트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이후 신왕국 시대의 번영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그러나 제13왕조 이후 파라오의 권력이 약화되고 외세의 침입이 잦아지면서 제2중간기로 접어들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