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림
육림(育林)은 숲이 조성된 후, 건강하고 우량하게 자랄 수 있도록 관리하고 가꾸는 일련의 활동을 총칭하는 임업 용어이다. 조림(造林)을 통해 숲을 만든 후, 숲의 생장과 기능을 증진시키고 미래 목재 생산성, 환경 보호, 산림 생태계 건강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된다.
개요
육림은 숲을 어릴 때부터 성숙 단계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과정이다. 단순히 나무를 심는 것(조림)을 넘어, 심어진 나무들이 서로 경쟁하고 병해충의 피해를 입지 않도록 보살피며 숲 전체의 활력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둔다. 숲의 종류(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 생장 단계, 관리 목표 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적용된다.
주요 활동
육림 활동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 풀베기(Weeding/Brushing): 어린 나무 주변의 잡초나 덩굴을 제거하여 나무가 빛과 양분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 어린나무가꾸기(Young Stand Tending): 조림 후 일정 기간이 지난 어린 숲에서 생장이 불량하거나 불필요한 나무를 일부 제거하여 우량목이 잘 자랄 공간을 확보하고 밀도를 조절한다.
- 가지치기(Pruning): 나무의 아랫가지나 불필요한 가지를 잘라내어 목재의 옹이를 줄이고 질을 높이며, 병충해 발생을 예방한다.
- 솎아베기(Thinning): 어느 정도 자란 숲에서 나무들이 너무 빽빽하게 밀집되어 경쟁이 심할 때, 일부 나무를 베어내어 남은 나무들의 생장을 촉진하고 숲 전체의 건강성을 개선한다.
- 천연림 가꾸기(Natural Forest Tending): 인공적으로 심지 않은 자연 상태의 숲에서도 불량목 제거, 솎아베기 등을 통해 숲의 활력과 다양성을 증진시킨다.
- 병해충 방제(Pest and Disease Control): 숲에 피해를 주는 병이나 해충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확산을 막기 위한 활동이다.
목적
육림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우량한 목재의 생산량 및 질 향상을 통한 경제적 가치 증대
- 산림 생태계의 건강성 및 생물 다양성 증진
- 산림의 수원 함양, 토사 유출 방지, 대기 정화 등 공익적 기능 강화
- 산불, 병해충 등 재해에 대한 숲의 저항력 증대
- 경관 개선 및 산림 휴양 기능 향상
조림과의 차이
육림은 숲을 '조성하는' 조림과는 구분된다. 조림이 새로운 숲을 만들거나 파괴된 숲을 복원하는 초기 단계(주로 식재)라면, 육림은 이미 조성된 숲을 '관리하고 가꾸는' 사후 관리 단계에 해당한다. 효과적인 육림은 조림의 성공을 지속시키고 숲이 계획된 목표에 따라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이끄는 데 필수적이다.
중요성
체계적인 육림은 지속 가능한 산림 경영의 핵심 요소이다. 잘 관리된 숲은 미래 세대에게 우량한 산림 자원을 물려주는 것은 물론, 맑은 공기, 깨끗한 물 공급, 기후 변화 완화, 생물 다양성 보전 등 다양한 형태의 공익적 기능을 제공하여 인간 생활과 자연 환경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