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2,795건

이동통신 주파수

이동통신 주파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할당된 특정 전파 주파수 대역을 의미한다. 전파는 주파수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데, 이동통신 서비스는 음성, 데이터 등 다양한 정보를 무선으로 주고받기 위해 특정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개요

이동통신 서비스는 한정된 자원인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적용한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등 다양한 다중 접속 방식은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면서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주파수 할당 및 관리

각 국가의 정부 또는 관련 기관은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주파수를 할당하고 관리한다. 주파수 할당은 경매, 심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며, 할당된 주파수 대역폭과 사용 조건은 사업자의 서비스 품질 및 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주파수 할당 과정에서는 기술 방식, 서비스 종류, 국가 정책 목표 등이 고려된다.

세대별 이동통신 주파수

이동통신 기술은 세대를 거듭하면서 더 넓은 대역폭의 주파수를 필요로 한다. 1세대(1G)는 주로 음성 통화에 사용되었으나, 2세대(2G)부터 문자 메시지 전송이 가능해졌고, 3세대(3G)부터는 데이터 통신 속도가 향상되었다. 4세대(4G)는 고속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며 모바일 인터넷 환경을 구축했고, 5세대(5G)는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을 특징으로 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각 세대별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다르며, 기술 발전과 함께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이 활용되는 추세이다.

주요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

  • 700MHz 대역: 4G LTE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며, 회절성이 좋아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 800MHz 대역: 2G, 3G, 4G LTE 서비스에 사용되며, 마찬가지로 넓은 커버리지 제공에 유리하다.
  • 900MHz 대역: 2G GSM 서비스에 주로 사용되었다.
  • 1.8GHz 대역: 2G DCS, 4G LTE 서비스에 사용된다.
  • 2.1GHz 대역: 3G WCDMA, 4G LTE 서비스에 사용된다.
  • 2.6GHz 대역: 4G LTE 서비스에 사용되며, 비교적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 3.5GHz 대역: 5G NR 서비스에 사용되며,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 28GHz 대역 (밀리미터파): 5G NR 서비스에 사용되며, 매우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지만, 전파 도달 거리가 짧고 장애물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관련 기술 및 규제

이동통신 주파수 사용은 관련 기술 표준 및 정부 규제에 의해 엄격하게 관리된다. 주파수 혼간섭 방지, 전자파 인체 영향 평가 등 다양한 안전 기준을 준수해야 하며, 불법적인 주파수 사용은 법적으로 제재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