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과정
역과정은 어떤 과정의 진행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는 자연과학, 공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원래 과정의 원인과 결과를 뒤바꾸어 생각하거나, 목표와 수단을 반대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화학 반응에서 정반응이 특정 물질을 생성하는 과정이라면, 역반응은 그 생성물을 다시 원래 반응물로 되돌리는 과정이다. 물리에서는 물체의 운동을 멈추게 하거나, 열역학 과정에서 엔트로피를 감소시키는 과정 등이 역과정에 해당될 수 있다.
경제학에서는 생산 과정에서 투입물을 산출물로 전환하는 것이 일반적인 과정이라면, 폐기물 처리나 재활용 과정은 산출물을 투입물로 되돌리는 역과정의 예시로 볼 수 있다.
역과정은 종종 원래 과정보다 더 많은 에너지나 자원을 필요로 하며, 때로는 기술적으로 불가능하거나 비효율적일 수 있다. 그러나 특정 목적을 달성하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염된 환경을 정화하거나, 손상된 제품을 복구하는 과정은 역과정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역과정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반전(reversal)' 또는 '역전(inversion)'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각 용어가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미묘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