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지학
민족지학 (民族誌學)은 특정 민족 또는 문화 집단의 생활 방식, 관습, 신념, 사회 구조 등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기술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문화인류학의 하위 분야로 간주되기도 하며, 인류학적 방법론을 통해 특정 집단의 문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민족지학 연구는 일반적으로 연구자가 연구 대상 집단 속에서 장기간 거주하며 그들의 일상생활에 직접 참여하는 참여 관찰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언어, 행동 양식, 사회적 관계, 의례 등 다양한 측면을 관찰하고 기록하며, 심층 인터뷰를 통해 집단 구성원들의 생각과 경험을 이해합니다.
민족지학 연구의 결과는 민족지(ethnography)라는 형태로 출판됩니다. 민족지는 특정 집단의 문화에 대한 상세한 기술과 분석을 담고 있으며, 다른 문화권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민족지는 문화 변화, 사회 문제, 정책 결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주요 연구 방법으로는 참여 관찰, 심층 인터뷰, 문헌 연구, 설문 조사 등이 있으며, 연구 대상은 지리적 위치, 사회적 계층, 직업, 성별, 연령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구분될 수 있습니다.
민족지학은 과거 주로 비서구 사회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으나, 현대에는 서구 사회는 물론 특정 조직, 온라인 커뮤니티 등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 윤리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연구 대상 집단의 동의를 얻고 그들의 권리를 존중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