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924건

이뇨제

이뇨제 (Diuretics)는 신장에서 나트륨과 수분의 배설을 촉진하여 소변량을 증가시키는 약물 또는 물질을 말한다. 부종, 고혈압, 심부전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체내 수분량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작용 기전

이뇨제는 신장의 네프론에서 다양한 작용 기전을 통해 수분과 전해질의 재흡수를 억제한다. 주요 작용 기전은 다음과 같다.

  • 나트륨 재흡수 억제: 이뇨제는 네프론의 특정 부위에서 나트륨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나트륨이 소변으로 배설되도록 한다. 나트륨은 삼투압에 따라 수분을 끌어당기므로, 나트륨 배설 증가는 자연스럽게 수분 배설 증가로 이어진다.
  • 알도스테론 길항: 알도스테론은 신장에서 나트륨 재흡수를 촉진하는 호르몬이다. 알도스테론 길항제는 알도스테론의 작용을 억제하여 나트륨 배설을 증가시킨다.
  • 탄산탈수효소 억제: 탄산탈수효소는 신장에서 중탄산염 재흡수를 촉진하는 효소이다. 탄산탈수효소 억제제는 중탄산염 배설을 증가시켜 나트륨 배설을 유도한다.

종류

이뇨제는 작용 부위와 기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된다.

  • 티아지드계 이뇨제: 원위세뇨관에서 나트륨-염소 공동 수송체를 억제한다. 고혈압 치료에 흔히 사용된다.
  • 루프 이뇨제: 헨레고리에서 나트륨-칼륨-염소 공동 수송체를 억제한다. 가장 강력한 이뇨 효과를 나타내며, 심부전이나 신부전으로 인한 부종 치료에 사용된다.
  • 칼륨 보존성 이뇨제: 알도스테론 길항제 또는 상피 나트륨 채널 억제제로서, 나트륨 배설을 증가시키면서 칼륨 배설은 감소시킨다.
  •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근위세뇨관에서 탄산탈수효소를 억제한다. 녹내장 치료에도 사용된다.
  • 삼투성 이뇨제: 신장에서 재흡수되지 않는 삼투성 물질을 사용하여 수분 배설을 증가시킨다. 뇌압 감소나 급성 신부전 치료에 사용된다.

부작용

이뇨제는 전해질 불균형, 탈수, 저혈압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등의 전해질 수치 변화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특정 이뇨제는 통풍, 혈당 상승, 콜레스테롤 상승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도 있다.

사용 시 주의사항

이뇨제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하며, 복용 중에는 정기적인 혈액 검사를 통해 전해질 수치를 확인해야 한다. 특히 심장 질환, 신장 질환, 간 질환 환자는 이뇨제 사용에 신중해야 한다. 또한, 이뇨제와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약물 복용 여부를 의사에게 알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