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124건

응보

응보(應報)는 주로 불교, 윤리학, 법학 등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어떤 행위에 대한 결과로서 주어지는 보상이나 벌을 의미한다. 넓은 의미로는 인과응보(因果應報)의 원리에 따라, 선행에는 좋은 결과가 따르고 악행에는 나쁜 결과가 따른다는 개념을 포괄한다.

개념

  • 인과응보: 응보의 가장 기본적인 원리로서, 원인(因)이 있으면 반드시 결과(果)가 있다는 법칙이다. 이는 선한 원인에는 선한 결과가, 악한 원인에는 악한 결과가 뒤따른다는 믿음을 포함한다.
  • 업(業): 불교에서 업은 행위, 말, 생각 등을 통해 쌓이는 에너지로서, 미래의 결과를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업은 응보의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 정의: 응보는 사회적 정의의 실현과도 관련된다. 범죄에 대한 형벌은 응보의 한 형태로서, 범죄 행위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게 함으로써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 정의를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응보의 종류

  • 순응보(順應報): 현생에서 지은 업에 대한 과보를 현생에서 받는 경우.
  • 생응보(生應報): 현생에서 지은 업에 대한 과보를 다음 생에서 받는 경우.
  • 후응보(後應報): 현생에서 지은 업에 대한 과보를 여러 생을 거친 후에 받는 경우.

응보와 관련된 논쟁

  • 자유의지: 응보 개념은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다는 전제하에 성립한다. 만약 인간의 행위가 완전히 결정론적으로 결정된다면 응보의 정당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 정의의 문제: 어떤 행위에 대해 어떤 수준의 응보가 적절한지에 대한 논쟁은 끊임없이 이어진다. 특히 형벌의 경우, 응보적 정의와 교정적 정의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 우연과 불운: 때로는 예상치 못한 사건이나 불운으로 인해 응보의 원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예외적인 상황은 응보 개념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