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6,700건

외관직

외관직은 한국사의 전통적인 관직 분류 중 하나로, 수도(경사, 京師)에 위치한 중앙 관서에서 근무하는 경관직(京官職)에 대비하여, 지방에서 근무하는 관직을 총칭한다. 주로 고려시대 이후 특히 조선시대에 확립된 지방 행정 체계의 근간을 이루었다.

외관직은 중앙에서 파견되어 해당 지방을 통치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은 해당 지역의 행정, 사법, 군사, 재정, 교육 등 광범위한 업무를 총괄했다. 주요 외관직의 종류로는 도(道)의 장관인 관찰사(觀察使), 그리고 부(府), 대도호부(大都護府), 목(牧), 군(郡), 현(縣) 등 각 지방 행정 구역의 책임자인 수령(守令)이 대표적이다. 수령에는 부윤(府尹),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목사(牧使), 군수(郡守), 현령(縣令), 현감(縣監) 등이 포함된다. 또한, 지방의 군무(軍務)를 담당하는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나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등도 외관직에 속했다.

외관직은 중앙 정부의 경관직과 함께 조선 시대 관료 체계를 이루는 핵심적인 부분이었다. 관료들은 경관직과 외관직을 오가며 다양한 행정 경험을 쌓고 승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외관직은 지방의 실정을 파악하고 직접 백성을 다스리는 실무 경험을 쌓는 중요한 과정으로 여겨졌다. 중앙 정부는 외관직 관료의 권력 비대화나 토착화를 막기 위해 상피제(相避制)를 시행하고, 일정 기간 근무 후 반드시 교체하는 순환 근무 제도를 엄격하게 적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