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철광
적철광 (赤鐵鑛, Hematite)은 화학식 Fe₂O₃를 가지는 산화철 광물이다. 어원은 그리스어 'haima' (피)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적철광의 붉은색을 반영한다. 철의 주요 광석 광물 중 하나이며, 다양한 암석 및 토양에서 발견된다.
특성
- 색상: 붉은색에서 검은색, 갈색 등 다양한 색상을 띤다. 분말 상태에서는 항상 붉은색을 나타낸다.
- 조흔색: 항상 붉은색을 나타낸다. 이는 적철광을 감별하는 중요한 특징이다.
- 광택: 금속 광택 또는 무광택을 가진다.
- 결정계: 삼방정계
- 굳기: 모스 굳기 5.0 ~ 6.5
- 비중: 5.26
- 쪼개짐: 불완전
- 깨짐: 불규칙
산출
적철광은 퇴적암, 변성암, 화성암 등 다양한 지질 환경에서 생성될 수 있다. 퇴적 환경에서는 호상철광층 (Banded Iron Formation, BIF)의 주요 구성 광물로 나타나며, 화성 환경에서는 마그마의 분화 과정에서 정출되기도 한다. 변성 환경에서는 다른 철 광물들이 변성 작용을 받아 적철광으로 변질될 수 있다.
용도
- 철강 산업: 철을 생산하는 주요 원료 광물이다.
- 안료: 붉은색 안료로 사용되며, 페인트, 화장품, 세라믹 등의 착색제로 이용된다.
- 연마재: 높은 경도를 이용하여 연마재로 사용된다.
- 방사선 차폐: 방사선 흡수 능력이 있어 방사선 차폐재로 사용될 수 있다.
유사 광물
자철석 (Magnetite, Fe₃O₄), 갈철석 (Limonite, FeO(OH)·nH₂O), 침철석 (Goethite, α-FeOOH) 등 다른 산화철 광물들과 유사한 외형을 가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조흔색과 자성을 이용하여 감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