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개학
온라인 개학은 감염병 확산, 천재지변 등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학생들의 등교가 어려울 때,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여 학교 수업을 가정이나 기타 장소에서 원격으로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전통적인 대면 수업 방식의 대체 수단으로, 교육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학습 결손을 최소화하는 데 목적을 둔다.
온라인 개학은 일반적으로 실시간 화상 수업, 녹화 강의 시청, 온라인 과제 제출 및 평가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플랫폼으로는 학교 자체 시스템, 교육청 지원 플랫폼, 또는 상용 화상 회의 프로그램 등이 활용될 수 있다. 교사는 온라인 환경에 적합한 수업 자료를 제작하고, 학생들은 가정에서 개인용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를 통해 수업에 참여한다.
온라인 개학은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이라는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디지털 기기 접근성 및 활용 능력 격차, 온라인 학습 환경 미비, 교사 및 학생의 디지털 역량 부족, 집중력 저하, 사회성 발달 저해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성공적인 온라인 개학을 위해서는 충분한 준비 기간을 갖고, 학생, 교사, 학부모의 의견을 수렴하여 교육 시스템 및 콘텐츠를 개발하고,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온라인 개학 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사이버 폭력,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에 대한 예방 교육 및 대처 방안 마련도 중요한 과제이다. 온라인 개학은 단순한 수업 방식의 변화를 넘어, 교육 시스템 전반에 대한 혁신을 요구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