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1,622건

스태그네이션

스태그네이션(Stagflation)은 경제학 용어로, 물가 상승(Inflation)과 경제 불황(Stagnation)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경제 성장이 둔화되거나 정체되는 상황에서 실업률이 높아지고, 동시에 상품과 서비스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상황을 가리킨다.

개요

스태그네이션은 전통적인 경제 이론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으로 여겨져 왔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 시에는 수요 감소로 인해 물가가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1970년대 오일 쇼크와 같은 공급 측면의 충격은 생산 비용 상승을 야기하여 물가 상승을 유발했고, 이는 동시에 경제 성장을 둔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며 스태그네이션을 발생시켰다.

발생 원인

스태그네이션의 발생 원인은 복합적이지만, 주로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거론된다.

  • 공급 측면의 충격: 원자재 가격 상승, 특히 에너지 가격 급등은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고, 이는 상품과 서비스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
  • 통화 정책의 실패: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긴축 통화 정책이 오히려 경기 침체를 심화시키거나, 반대로 경기 부양을 위한 완화 통화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 노동 시장의 경직성: 노동 시장의 경직성은 임금 인상을 어렵게 만들고, 이는 생산성 향상 없이 비용 상승을 야기하여 스태그네이션을 심화시킬 수 있다.
  • 구조적인 문제: 산업 구조의 변화에 대한 적응 실패, 규제 강화, 기술 혁신 지연 등은 경제 성장을 둔화시키고, 이는 스태그네이션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해결 방안

스태그네이션은 해결하기 매우 어려운 경제 문제 중 하나로 여겨진다. 왜냐하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은 경기 침체를 심화시킬 수 있고, 경기 부양을 위한 정책은 인플레이션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태그네이션 해결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 공급 측면의 효율성 증대: 에너지 효율성 향상, 생산성 향상, 규제 완화 등을 통해 공급 측면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 미세 조정 정책: 특정 산업 또는 지역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통해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동시에 인플레이션을 억제해야 한다.
  • 노동 시장 개혁: 노동 시장의 유연성을 높이고, 생산성과 임금 간의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 구조 개혁: 산업 구조를 혁신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해야 한다.

영향

스태그네이션은 경제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실업률 증가: 경제 침체로 인해 기업들이 인력을 감축하면서 실업률이 증가한다.
  • 소득 감소: 실업률 증가와 임금 하락으로 인해 가계 소득이 감소한다.
  • 소비 위축: 소득 감소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소비가 위축된다.
  • 기업 투자 감소: 경제 불황과 불확실성으로 인해 기업 투자가 감소한다.
  • 사회 불안 심화: 실업, 소득 감소,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해 사회 불안이 심화될 수 있다.

참고 문헌

  • 맨큐, N. G. (2021). 맨큐의 경제학. 센게이지러닝코리아.
  • 블랭커드, S. L. (2017). 스태그플레이션: 과거의 교훈과 현재의 도전. 한국은행 조사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