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내막염
심내막염(心內膜炎, Endocarditis)은 심장의 내벽인 심내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로 심장 판막에 세균, 진균 또는 다른 미생물이 감염되어 발생하며, 드물게는 비감염성 원인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감염성 심내막염은 세균성 심내막염이라고도 불린다.
원인:
심내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세균 감염이다. 구강, 피부, 호흡기, 또는 비뇨기 계통의 감염이 혈류를 통해 심장으로 이동하여 심내막을 감염시킬 수 있다. 특히 인공 판막을 이식했거나, 선천성 심장 질환이 있는 경우, 또는 과거에 심내막염을 앓았던 경우 심내막염 발생 위험이 높다. 비감염성 심내막염은 자가면역 질환, 악성 종양 또는 특정 약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증상:
심내막염의 증상은 다양하며, 급성 또는 만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발열, 오한, 피로감, 식욕 부진, 체중 감소, 근육통, 관절통 등이 있다. 심장 관련 증상으로는 심잡음, 호흡 곤란, 흉통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피부에 작은 출혈점, 손톱 밑에 선상 출혈, 눈의 결막 출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드물게는 뇌졸중, 신부전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진단:
심내막염의 진단은 혈액 배양 검사, 심장 초음파 검사 (경흉부 심초음파, 경식도 심초음파), 흉부 X선 검사, 심전도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혈액 배양 검사를 통해 원인균을 확인하고, 심장 초음파 검사를 통해 심장 판막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치료:
심내막염의 치료는 주로 항생제 치료를 통해 이루어진다. 원인균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하여 장기간 투여한다. 심장 판막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인공 판막 심내막염의 경우, 인공 판막을 교체하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예방:
심내막염 예방을 위해 치과 치료, 수술, 또는 특정 의료 시술 전에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이 권장될 수 있다. 특히 심장 질환이 있는 경우, 구강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고, 감염 예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