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235건

시경

시경 (詩經)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가집이며, 유교 경전의 하나이다. 본래 단순히 '시(詩)'라고 불렸으나, 공자가 시를 가르치는 데 사용하면서 '시경(詩經)'이라는 존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개요

시경은 주나라 초기부터 춘추시대 중기까지 약 500여 년간의 시가 305편을 수록하고 있다. 내용은 주로 민간에서 불리던 노래를 채록한 것으로, 사회의 다양한 모습과 인간의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고 있다. 시경은 유교 경전으로서 도덕적 교훈을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학 작품으로서도 뛰어난 가치를 지닌다.

구성

시경은 크게 풍(風), 아(雅), 송(頌)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 풍(風): 각 지역의 민요를 모아 놓은 것으로, 평민들의 삶과 사랑, 노동의 고통 등을 생생하게 담고 있다. 160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 아(雅): 조정의 연회나 제사 때 불리던 노래로, 대아(大雅)와 소아(小雅)로 나뉜다. 대아는 왕조의 역사와 업적을 찬양하는 내용이 많고, 소아는 사회의 현실을 반영하거나 개인의 감정을 표현하는 내용이 많다. 105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 송(頌): 종묘 제례에서 부르던 노래로, 주(周)나라, 노(魯)나라, 상(商)나라의 송이 있다. 역대 왕조의 시조를 기리고 제사의 엄숙함을 더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40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학적 특징

시경은 간결하고 소박한 표현을 사용하여 인간의 감정을 진솔하게 드러낸다. 비유, 상징, 반복 등의 수사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시의 의미를 풍부하게 하고 운율을 살렸다. 또한, 4언구 위주의 형식을 통해 안정감과 리듬감을 부여한다.

영향

시경은 후대 중국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시경의 표현 기법과 주제 의식은 이후의 시가 작품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한시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유교 경전으로서 시경은 중국 사회의 가치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고 문헌

  • 김학주 역주, 『시경』, 민음사, 2003.
  • 정약용 역주, 『시경강의』, 다산학술총서,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