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급
수급은 재화나 서비스의 수요(需要)와 공급(供給)의 관계를 나타내는 경제학 용어이다. 수요란 특정 가격 수준에서 소비자들이 구매하고자 하는 재화나 서비스의 양을 의미하며, 공급이란 특정 가격 수준에서 생산자들이 판매하고자 하는 재화나 서비스의 양을 의미한다. 수요와 공급은 시장 가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이들의 상호작용은 시장의 균형점을 만들어낸다. 수요가 공급보다 많으면 가격은 상승하고, 공급이 수요보다 많으면 가격은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급 상황은 시장 경제의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며, 정부 정책 및 기업의 경영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수급 불균형은 가격 급등, 품귀 현상, 과잉 생산 등 다양한 경제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특정 재화나 서비스의 수급 상황을 분석할 때는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예를 들어 소비자의 소득, 소비자의 선호도, 생산 기술, 원자재 가격, 정부 정책 등을 고려해야 한다.
수급 불균형은 수요 초과 (수요 > 공급) 또는 공급 초과 (수요 < 공급)으로 나타난다. 수요 초과는 품귀 현상과 가격 상승을, 공급 초과는 재고 증가와 가격 하락을 초래한다. 시장 경제에서는 수요와 공급의 자유로운 상호작용을 통해 시장 가격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자원 배분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시장 실패의 경우, 수급 불균형이 지속되거나 심화될 수 있다.
수급이라는 용어는 경제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특히 특정 자원이나 상품의 부족 또는 과잉을 묘사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력 수급"은 전력의 수요와 공급을 의미하며, "인력 수급"은 노동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