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489건

소매상

소매상 (小賣商, retailer)은 생산자나 도매상으로부터 상품을 구매하여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상업 주체를 의미한다. 소매상은 유통 과정의 마지막 단계에 위치하며, 소비자의 수요를 파악하고 상품을 진열, 판매,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소비자의 구매 활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징

  • 최종 소비자 대상 판매: 소매상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상품을 판매한다는 점이다.
  • 다양한 상품 취급: 소비자들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 편의성 제공: 소비자들이 상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접근성이 좋은 위치에 자리잡거나, 편리한 쇼핑 환경을 제공하는 등 편의성을 중시한다.
  • 소규모 사업 형태: 대규모 유통 기업도 존재하지만, 개인이나 가족 단위의 소규모 사업 형태도 흔히 볼 수 있다.
  • 마케팅 및 판매 촉진 활동: 상품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광고, 판촉 행사, 고객 관리 등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한다.

종류

소매상은 판매 방식, 상품 종류, 규모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 판매 방식에 따른 분류:
    • 점포형 소매상: 백화점, 할인점, 슈퍼마켓, 편의점, 전문점 등과 같이 고정된 장소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형태
    • 무점포형 소매상: 통신 판매, 방문 판매, 자동 판매기 등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형태
    • 온라인 소매상: 인터넷 쇼핑몰, 소셜 커머스 등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형태
  • 상품 종류에 따른 분류:
    • 식료품 소매상: 식료품, 음료 등을 판매하는 상점
    • 의류 소매상: 의류, 액세서리 등을 판매하는 상점
    • 가구 소매상: 가구, 인테리어 용품 등을 판매하는 상점
    • 전자제품 소매상: 전자제품, 가전제품 등을 판매하는 상점
  • 규모에 따른 분류:
    • 대규모 소매상: 대형 할인점, 백화점 등
    • 중규모 소매상: 슈퍼마켓, 체인점 등
    • 소규모 소매상: 개인 상점, 동네 가게 등

역할

소매상은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연결 고리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 소비자 니즈 충족: 소비자들이 원하는 상품을 적절한 가격에 제공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인다.
  • 상품 정보 제공: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의 합리적인 구매 결정을 돕는다.
  • 유통 효율성 증대: 상품의 보관, 운송, 판매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유통 비용을 절감한다.
  • 지역 경제 활성화: 지역 주민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한다.

관련 용어

  • 도매상: 생산자로부터 상품을 대량으로 구매하여 소매상에게 판매하는 상업 주체
  • 소비자: 상품을 최종적으로 소비하는 주체
  • 유통 채널: 상품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경로
  • 마케팅: 상품 판매를 촉진하기 위한 모든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