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속
세속(世俗)은 종교적, 정신적, 초자연적인 것과 대비되는, 현세적이고 물질적인 삶의 영역을 가리키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종교나 영적인 가치관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이익, 물질적 풍요, 사회적 성공 등을 추구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어원 및 의미
'세속'이라는 단어는 한자어 '世(세상 세)'와 '俗(풍속 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세상의 풍속'이라는 문자적 의미를 가지며, 시간이 흐르면서 종교적 가치와 구별되는 일반적인 사회 생활 양식을 지칭하게 되었다. 세속적인 것은 종교적인 것과 대조적으로 간주되며, 흔히 물질주의, 향락주의, 개인주의와 같은 가치관과 연관된다.
세속주의
세속주의는 종교와 정치, 사회 영역을 분리하려는 이념이다. 이는 종교가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 영역에 머물러야 하며, 국가 운영이나 공공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세속주의는 종교적 다원주의 사회에서 종교적 갈등을 방지하고, 개인의 종교적 자유를 보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세속화
세속화는 사회 전반에서 종교의 영향력이 약화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과학 기술의 발전, 합리주의의 확산, 개인주의의 심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촉진된다. 세속화된 사회에서는 종교적인 의례나 관습이 점차 사라지거나, 그 의미가 축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세속 윤리
세속 윤리는 종교적인 근거 없이 인간의 이성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도덕적 가치를 판단하는 윤리 체계를 말한다. 이는 인간 존엄성, 공정성, 정의, 책임감 등 보편적인 가치를 강조하며, 종교와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공유할 수 있는 도덕적 기준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