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결
성결(聖潔)은 기독교 신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하나님의 거룩하심을 닮아 죄와 악으로부터 분리되어 순수하고 깨끗한 상태를 의미한다. 단순히 도덕적인 완전함뿐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온전함을 추구하는 적극적인 개념을 포함한다.
개념
성결은 다양한 기독교 교파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주제이지만, 그 강조점과 해석은 교파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음의 의미를 내포한다.
- 분리: 죄와 세상적인 것들로부터 분리되어 하나님의 뜻에 합당하게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 정화: 내면의 죄성을 극복하고 영적으로 깨끗해지는 과정을 포함한다.
- 헌신: 하나님의 뜻을 따르고 그분께 헌신하는 삶을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 성화: 성령의 역사로 점진적으로 거룩함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가리킨다.
성경적 근거
성결의 개념은 구약성경과 신약성경 모두에서 찾아볼 수 있다. 구약에서는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를 통해 거룩함을 유지해야 할 의무가 강조되었다. 신약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통해 죄 사함을 받고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성화되어 가는 과정을 강조한다.
교파별 관점
- 감리교: 웨슬리안 신학에서는 성결을 '완전한 사랑'의 상태로 이해하며, 성령의 은혜를 통해 죄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워질 수 있다고 본다.
- 장로교: 성결은 성화의 과정으로 이해되며, 그리스도인의 삶 속에서 점진적으로 이루어져 간다고 본다.
- 성결교: 성결교는 교단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성결을 핵심 교리로 강조한다. 중생 이후에 성령 세례를 통해 죄성을 완전히 극복하고 성결한 삶을 살 수 있다고 믿는다.
실천
성결을 추구하는 삶은 기도, 성경 묵상, 예배 참여, 봉사 등 다양한 신앙 활동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상생활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따르고 이웃을 사랑하며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