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6,439건

윷놀이

윷놀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보드 게임의 일종이다. 주로 정월 초하루 설날을 비롯한 명절에 온 가족이 함께 즐기는 대표적인 놀이이다. 윷가락을 던져 나온 결과에 따라 말(馬)을 움직여, 먼저 모든 말을 출발점으로 돌아오게 하는 사람이 이기는 방식이다.

개요

윷놀이는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으며, 단순한 규칙 속에서도 전략적인 요소와 운이 적절히 결합되어 있어 예로부터 한국인들이 즐겨왔다. 개인전 또는 팀전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팀전일 경우 협동과 응원하는 재미가 크다.

역사

윷놀이의 정확한 기원은 분명하지 않으나, 삼국시대 이전부터 행해졌던 것으로 추정될 만큼 역사가 깊다. 『위지』 동이전 부여조에 "가축의 이름을 빌려 6축(六畜)을 가지고 점을 쳐 길흉을 안다"는 기록이 있어, 이것이 윷놀이의 기원과 관련 있다는 설도 있다. 농경 사회에서 한 해의 풍흉을 점치는 의례에서 발전했다는 견해도 있으며, 오랫동안 한국인들의 삶과 함께하며 민속놀이로 정착되었다.

준비물

  • 윷가락: 일반적으로 4개의 나무 막대로 구성된다. 한 면은 평평하고 다른 한 면은 둥글게 되어 있어, 던졌을 때 평평한 면이 위를 향하는 개수와 둥근 면이 위를 향하는 개수에 따라 도, 개, 걸, 윷, 모가 결정된다. 최근에는 플라스틱이나 다른 재질로 된 윷가락도 사용된다.
  • 말판: 윷놀이를 두는 판으로, 보통 천이나 종이 등에 그려져 있다. 원과 직선이 결합된 형태로 20개의 일반적인 칸과 4개의 모퉁이 칸(방), 그리고 중앙 칸(도착 지점)으로 구성된다.
  • 말: 팀별로 구분되는 작은 표식이다. 각 팀은 보통 4개의 말을 사용한다.

게임 방법

  1. 편 나누기: 게임을 할 사람 수에 따라 개인전 또는 팀을 나눈다.
  2. 말 놓기: 각 팀은 출발점(말판의 한 귀퉁이)에 말을 놓는다.
  3. 윷 던지기: 순서를 정하여 각자 또는 팀의 대표가 윷가락을 던진다.
  4. 말 움직이기: 윷가락을 던져 나온 결과에 따라 말을 움직인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도 (하나 뒤집어짐): 1칸 이동
    • 개 (두 개 뒤집어짐): 2칸 이동
    • 걸 (세 개 뒤집어짐): 3칸 이동
    • 윷 (네 개 뒤집어짐): 4칸 이동하며 한 번 더 던질 기회 얻음
    • 모 (네 개 모두 뒤집어지지 않음): 5칸 이동하며 한 번 더 던질 기회 얻음
    • 뒷도 (하나만 뒤집어지고 그 위에 표시가 있는 경우): 1칸 뒤로 이동 (규칙에 따라 사용 여부 결정)
  5. 특수 규칙:
    • 말 잡기: 이동하려는 칸에 상대방의 말이 있을 경우, 그 말을 잡을 수 있다. 말을 잡으면 상대방의 말은 출발점으로 돌아가고, 말을 잡은 팀은 한 번 더 윷을 던질 기회를 얻는다.
    • 말 합치기: 같은 팀의 말이 같은 칸에 모이면 말을 합쳐서 같이 움직일 수 있다. 합쳐진 말은 함께 이동하며, 잡힐 경우 한꺼번에 잡힌다.
    • 지름길 이용: 말판에는 지름길이 있어, 특정 칸(모퉁이 칸)에 도착하면 더 짧은 경로로 이동할 수 있다.
    • 윷/모: 윷이나 모가 나오면 해당 칸 수만큼 이동하고, 윷을 한 번 더 던진다. 연속으로 윷이나 모가 나오면 계속 던질 수 있다.
    • 말 나기: 말이 말판을 모두 돌아 출발점으로 돌아오면 "말이 났다"고 한다.

승리 조건

가장 먼저 자신의 모든 말을 말판 밖으로 내보내는 팀 또는 개인이 승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