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14건

감자무사마귀혹병균

감자무사마귀혹병균 (Synchytrium endobioticum)은 감자 (Solanum tuberosum)에 무사마귀병을 일으키는 절대 기생 곰팡이의 일종이다. 이 병원균은 감자의 눈, 덩이줄기, 줄기에 특징적인 혹을 형성하게 하여 농업적으로 큰 손실을 야기한다. 감자무사마귀혹병균은 토양 내에서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는 휴면포자인 내생포자(resting spore)를 형성하기 때문에 박멸이 매우 어렵다.

특징

  • 생물학적 분류: 키트리디아문(Chytridiomycota)에 속하는 곰팡이이다.
  • 생활환: 복잡한 생활환을 가지며,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을 모두 한다. 주요 전염원은 내생포자이며, 감자의 생장점이나 상처를 통해 침입한다.
  • 증상: 감자의 눈, 덩이줄기, 줄기에 불규칙하고 울퉁불퉁한 혹을 형성한다. 초기에는 흰색 또는 분홍색을 띠지만, 점차 어두운 색으로 변한다. 심한 경우 감자 전체가 혹으로 뒤덮일 수 있다.
  • 전파 경로: 감염된 종서, 토양, 농기구, 물 등을 통해 전파된다. 특히 내생포자는 토양 내에서 수십 년 동안 생존할 수 있어 방제가 어렵다.

방제

  • 저항성 품종 재배: 무사마귀병 저항성 품종을 재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제 방법이다.
  • 윤작: 감자와의 연작을 피하고, 비기주 작물을 재배하여 토양 내 병원균 밀도를 낮춘다.
  • 종서 소독: 감염되지 않은 종서를 사용하고, 종서 소독제를 사용하여 표면에 있는 병원균을 제거한다.
  • 토양 소독: 석회질소 등을 사용하여 토양을 소독한다.
  • 검역: 무사마귀병 발생 지역으로부터의 종서 이동을 제한하는 검역 조치를 시행한다.

참고 문헌

  • Jones, L. K. (1916). Studies in plant diseases. III. The pathological significance of intracellular bodies in the cells of plants. Phytopathology, 6(2), 107-130.
  • Hampson, M. C., & Thompson, S. M. (1977). Races of Synchytrium endobioticum in Newfoundland. European Journal of Plant Pathology, 83(3), 20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