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3,507건

단소

단소는 한국의 전통 악기 중 하나로, 세로로 부는 관악기이다. 대나무로 만들어지며, 보통 황죽이나 오죽을 사용한다. 길이가 짧고 간결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청아하고 맑은 음색이 특징이다.

개요

단소는 고려 시대에 중국에서 유입된 당적(唐笛)에서 유래되었다고 추정된다. 조선 시대에는 궁중 음악과 민간 음악 모두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선비들의 풍류를 즐기는 악기로 사랑받았다. 현재는 국악 교육 기관이나 동호회 등을 통해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구조

단소는 크게 몸통과 취구(吹口)로 구성된다. 몸통에는 5개의 지공(指孔)이 있으며, 앞면에 4개, 뒤면에 1개가 있다. 취구는 바람을 불어넣는 부분으로, 얇게 깎아 만든다.

연주법

단소는 입술을 대고 바람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방식으로 연주한다. 손가락으로 지공을 막거나 떼어 음정을 조절하며, 호흡과 혀의 움직임을 통해 다양한 음색과 기교를 표현할 수 있다.

음계 및 조율

단소의 기본 음계는 황종(黃鐘), 태주(太簇), 고선(姑洗), 유빈(蕤賓), 이칙(夷則)이다. 조율은 대개 취구의 위치나 지공의 크기를 조절하여 이루어진다.

활용

단소는 독주, 병주, 합주 등 다양한 형태로 연주된다. 영산회상, 청성자진한잎, 수룡음 등의 전통 음악에 사용되며, 현대 창작 음악에도 활용되기도 한다.

참고 문헌

  • 한국음악사 (송방송)
  • 국악개론 (장사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