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4,033건

자기애적 인격장애

자기애적 인격장애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NPD)는 과장된 자기 중요성, 칭찬에 대한 과도한 욕구, 공감 능력 부족을 특징으로 하는 인격 장애이다. DSM-5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에 따르면 자기애적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자신이 특별하고 고유하다고 믿으며, 타인이 자신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은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뿐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무한한 성공, 권력, 지능, 아름다움 또는 이상적인 사랑에 대한 환상을 품고 있으며, 과도한 숭배를 요구한다.

진단 기준

DSM-5에서는 다음 9가지 특성 중 5가지 이상이 나타날 때 자기애적 인격장애로 진단한다:

  1. 자신의 중요성에 대한 과장된 감각 (예: 자신의 업적과 재능을 과장함, 뒷받침할 만한 업적이 없어도 우월한 존재로 인정받기를 기대함)
  2. 무한한 성공, 권력, 뛰어남, 아름다움 또는 이상적인 사랑에 대한 환상에 몰두함
  3. 자신이 특별하고 고유하며, 특별하거나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또는 기관)만이 자신을 이해할 수 있고, 자신과 어울려야 한다고 믿음
  4. 과도한 숭배를 요구함
  5. 특별한 자격이 있는 것처럼 느낀다. 즉, 특별히 호의적인 대우를 받기를, 또는 자신의 기대에 자동으로 순응하기를 불합리하게 기대함
  6. 대인관계에서 착취적이다. 즉,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타인을 이용한다.
  7. 공감 능력의 결여: 타인의 감정과 요구를 인식하거나 동일시하려 하지 않음
  8. 자주 타인을 질투하거나, 타인이 자신을 질투한다고 믿음
  9. 거만하고 건방진 행동이나 태도를 보임

원인

자기애적 인격장애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어린 시절의 과도한 칭찬, 비판, 방임, 학대 등이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치료

자기애적 인격장애는 치료가 어려운 인격 장애 중 하나이다. 환자들은 자신의 문제를 인정하지 않거나, 치료를 거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신 치료 (특히 정신역동적 치료, 인지 행동 치료 등)를 통해 자기애적 성향을 완화하고 대인 관계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약물 치료는 일반적으로 자기애적 인격장애 자체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지는 않지만, 불안, 우울증 등 동반되는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주의사항

자기애적 성향은 개인의 성격 특성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자기애적 인격장애와 구별되어야 한다. 자기애적 인격장애는 사회적 기능, 직업적 기능, 대인 관계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심리적 장애이다.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과 평가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