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절
신경절 (神經節, ganglion)은 말초신경계에서 신경 세포체들이 모여 있는 구조이다. 중추신경계의 핵(nucleus)과 유사한 역할을 하며, 신경 섬유 다발인 신경(nerve)을 따라 존재한다. 신경절은 신경 신호의 전달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다양한 유형의 신경절이 존재한다.
구조
신경절은 주로 신경 세포체, 신경 섬유, 그리고 이를 지지하는 교세포로 구성된다. 신경 세포체는 신경절의 주요 구성 요소이며, 이곳에서 신경 신호가 처리되고 통합된다. 신경 섬유는 신경절 안팎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교세포는 신경 세포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신경절은 일반적으로 결합 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혈관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받는다.
기능
신경절은 신경 신호의 중계소 역할을 한다. 감각 신경절은 감각 수용기로부터 전달된 감각 정보를 뇌 또는 척수로 전달하며, 자율 신경절은 중추신경계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내장 기관으로 전달한다. 신경절 내에서 신경 세포는 시냅스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신경 신호가 증폭되거나 조절될 수 있다.
분류
신경절은 위치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주요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척수 신경절 (dorsal root ganglion): 척수의 뒤뿌리에 위치하며, 몸의 감각 정보를 척수로 전달한다.
- 자율 신경절 (autonomic ganglion): 자율 신경계에 속하며, 교감 신경절과 부교감 신경절로 나뉜다. 교감 신경절은 척수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부교감 신경절은 내장 기관 근처에 위치한다.
- 뇌신경절 (cranial nerve ganglion): 일부 뇌신경의 신경 세포체가 모여 있는 곳으로, 감각 또는 자율 신경 기능을 수행한다.
임상적 중요성
신경절은 다양한 질환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포진 바이러스는 척수 신경절에 잠복해 있다가 재활성화되어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자율 신경절의 기능 이상은 다양한 자율 신경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신경절의 종양은 드물지만 발생할 수 있으며, 신경절의 압박이나 손상은 신경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