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8,699건

선정주의

선정주의는 대중의 관심을 끌기 위해 충격적이거나 자극적인 내용을 과장하거나 부각하는 경향 또는 방식을 말한다. 주로 언론, 출판물, 방송 등 대중매체에서 나타나며, 사실의 정확성이나 객관성보다는 즉각적인 흥미 유발에 초점을 맞춘다.

주요 특징

  • 감정적 호소: 이성보다는 감정에 호소하는 내용을 주로 다룬다.
  • 자극적 소재: 범죄, 폭력, 성적인 내용, 스캔들, 가십 등 선정적이거나 말초적인 흥미를 유발하는 소재를 과도하게 부각한다.
  • 과장 및 왜곡: 사건이나 사실을 실제보다 부풀리거나 특정 부분만 부각하여 전체 맥락을 왜곡하기도 한다.
  • 충격적인 표현: 독자나 시청자의 시선을 즉시 사로잡기 위해 강렬하거나 도발적인 제목, 이미지, 문구를 사용한다.
  • 심층 보도 부족: 사건의 배경이나 사회적 맥락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보다는 표면적이고 자극적인 사실 전달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

발생 원인

선정주의는 주로 상업적인 목적, 즉 더 많은 독자, 시청자, 방문자를 확보하여 수익을 늘리려는 언론 및 미디어 기업 간의 경쟁에서 비롯된다. 또한, 대중의 즉각적이고 감각적인 정보에 대한 선호도에 부응하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영향 및 비판

선정주의는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정보의 왜곡: 사실을 과장하거나 왜곡하여 대중의 합리적인 판단을 저해할 수 있다.
  • 공론장의 질 저하: 가십이나 흥미 위주의 내용이 중요한 사회 문제에 대한 논의를 대체하여 공론장의 수준을 낮출 수 있다.
  • 윤리 문제: 사건 관련자, 특히 피해자나 사회적 약자를 상품화하거나 인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윤리적 비판이 제기된다.
  • 피로감 및 불신 조장: 과도한 자극적인 정보는 대중의 피로감을 높이고, 언론 전반에 대한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

관련 용어

  • 황색 저널리즘 (Yellow journalism): 19세기 말 미국에서 과장되고 자극적인 보도로 판매 부수를 늘리려 했던 경향을 지칭하는 용어로, 선정주의의 역사적 형태로 볼 수 있다.
  • 클릭베이트 (Clickbait): 인터넷 환경에서 웹사이트 방문자의 클릭을 유도하기 위해 자극적이거나 호기심을 유발하는 제목이나 미리보기 이미지를 사용하는 행위를 말한다.
  • 인포테인먼트 (Infotainment): 정보(Information)와 오락(Entertainment)을 결합한 용어로, 정보 전달 과정에 오락적 요소를 가미하는 것을 뜻하며, 때로는 선정주의와 결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