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35건

선다형

선다형(選多形), 또는 객관식은 여러 개의 보기 중에서 정답을 고르는 시험 또는 평가 방식이다. 주로 시험, 설문 조사, 퀴즈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며, 응시자는 제시된 선택지 중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답을 선택한다.

특징

  • 객관성: 채점 기준이 명확하여 채점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여지가 적다.
  • 효율성: 짧은 시간 안에 많은 문항을 평가할 수 있어 대규모 평가에 적합하다.
  • 용이성: 응시자는 직접 답을 작성할 필요 없이 선택지만을 고려하면 되므로 부담이 적다.
  • 다양한 유형: 단순히 정답을 고르는 형태 외에도 참/거짓 판단, 순서 배열, 연결하기 등 다양한 유형으로 변형될 수 있다.

구성 요소

  • 문제(Stem): 질문 또는 진술의 형태로, 응시자가 해결해야 할 내용을 제시한다.
  • 정답(Key): 문제에 대한 올바른 답.
  • 오답(Distractor): 정답과 유사하게 보이도록 고안된 잘못된 답. 오답은 응시자의 지식 부족 또는 오해를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 선택지(Options): 정답과 오답을 포함하여 응시자가 선택할 수 있는 모든 보기.

장단점

  • 장점:
    • 채점의 객관성과 효율성이 높다.
    • 대규모 평가에 적합하다.
    • 다양한 내용을 평가할 수 있다.
  • 단점:
    • 추측으로 정답을 맞힐 가능성이 존재한다.
    • 응시자의 창의적 사고력이나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기 어렵다.
    • 고도의 지식을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활용 분야

  • 교육: 학교 시험, 자격증 시험, 모의고사 등
  • 조사: 설문 조사, 시장 조사, 여론 조사 등
  • 평가: 인적성 검사, 능력 평가, 성과 평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