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전
색전 (塞栓, embolism)은 혈액이나 림프액 속에서 정상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이물질이 혈관을 막아 혈액 순환을 방해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이물질을 색전(embolus)이라고 부른다. 색전은 혈전, 지방, 공기, 종양 세포, 세균 덩어리 등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색전이 혈관을 막으면 해당 혈관이 분포하는 조직이나 장기에 혈액 공급이 중단되어 허혈성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괴사(necrosis)에 이를 수 있다.
원인
색전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가장 흔한 원인은 다음과 같다.
- 혈전: 혈관 내에서 형성된 혈전이 떨어져 나와 혈류를 따라 이동하다가 좁은 혈관을 막는 경우. 심부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에서 발생한 혈전이 폐동맥을 막는 폐색전증이 대표적인 예이다.
- 지방: 골절, 외상, 화상 등으로 인해 지방이 혈액 속으로 유입되어 혈관을 막는 경우.
- 공기: 수술, 카테터 삽입, 외상 등으로 인해 공기가 혈액 속으로 유입되어 혈관을 막는 경우. 다이버가 급격하게 수면으로 상승할 때 발생하는 잠수병(decompression sickness)도 공기 색전의 한 종류이다.
- 양수: 분만 중 양수가 혈액 속으로 유입되어 혈관을 막는 경우.
- 종양 세포: 암세포가 혈액을 통해 이동하다가 혈관을 막는 경우. 이는 암 전이의 주요 경로 중 하나이다.
- 세균: 감염으로 인해 형성된 세균 덩어리가 혈관을 막는 경우.
증상
색전의 증상은 막힌 혈관의 위치와 크기, 그리고 혈액 공급이 중단된 조직이나 장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 폐색전증: 호흡 곤란, 흉통, 기침, 객혈, 심계항진, 실신 등
- 뇌졸중: 마비, 감각 이상, 언어 장애, 시각 장애, 의식 저하 등
- 사지 허혈: 통증, 창백, 냉감, 맥박 소실 등
진단
색전의 진단은 환자의 증상, 병력, 신체 검진 소견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다음과 같은 검사가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혈액 검사: D-dimer 수치 측정, 혈액 응고 검사 등
- 영상 검사: 흉부 X선 촬영, CT 촬영, MRI 촬영, 초음파 검사 등
- 심전도 검사: 심방세동 등 부정맥 여부 확인
치료
색전의 치료는 막힌 혈관을 개통하고 혈액 순환을 회복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치료 방법은 색전의 종류, 위치, 크기,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 항응고제: 혈전이 더 커지는 것을 막고 새로운 혈전 형성을 예방하는 약물 (예: 헤파린, 와파린, NOAC)
- 혈전 용해제: 혈전을 녹이는 약물 (예: tPA)
- 수술: 혈전을 직접 제거하는 수술 (혈전 절제술)
- 카테터 시술: 카테터를 이용하여 혈전을 제거하거나 혈관을 확장하는 시술
예방
색전의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 장시간 앉아 있거나 누워 있는 것을 피하고, 주기적으로 스트레칭이나 가벼운 운동을 한다.
- 수술 후에는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조기에 활동을 시작한다.
-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을 섭취한다.
- 심부정맥 혈전증의 위험이 높은 환자는 예방적 항응고 요법을 고려한다.
- 흡연은 혈관 건강을 해치므로 금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