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14건

상복

상복은 초상(初喪)을 당했을 때 상주(喪主)와 친족들이 입는 옷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흰색 또는 베이지색 계열의 옷감으로 만들며, 현대에는 검은색 정장을 입는 경우도 있다. 상복을 입는 기간과 종류는 전통적으로 상례(喪禮) 절차와 고인의 관계, 사회적 지위에 따라 달랐으나, 현대에는 간소화되는 추세이다.

전통적인 상복

  • 굴건제복(屈巾祭服): 전통적인 상복의 기본 형태로, 굴건(屈巾, 머리에 쓰는 건)과 제복(祭服, 몸에 입는 옷)으로 구성된다. 굴건은 헝겊이나 종이로 만들며, 제복은 베로 만든다.
  • 상장(喪杖): 상주가 짚는 지팡이로, 아버지의 상에는 대나무 지팡이(竹杖), 어머니의 상에는 버드나무 지팡이(木杖)를 사용한다.
  • 요대(腰帶): 허리에 두르는 띠로, 상복과 함께 착용한다.
  • 두건(頭巾): 머리에 쓰는 것으로, 굴건 대신 사용하기도 한다.

현대의 상복

현대에는 전통적인 상복보다는 간소화된 형태의 상복을 입는 경우가 많다. 검은색 정장을 입거나, 흰색이나 베이지색 계열의 간편한 옷을 입기도 한다. 여성의 경우 검은색 치마 정장이나 흰색 블라우스를 입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복 착용 시 유의사항

  • 상복은 단정하고 깔끔하게 입어야 한다.
  • 지나치게 화려한 장신구는 피하는 것이 좋다.
  • 상가(喪家)의 분위기를 고려하여 지나치게 밝은 색상의 옷은 피하는 것이 좋다.

참고 문헌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